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예술로 먹고살기15

그림의 값, 예술의 값 - #8 예술과 후원 – 돈이 예술을 만든다고? #8 예술과 후원 – 돈이 예술을 만든다고? 예술가는 홀로 작업하죠. 하지만 예술은 결코 혼자 만들어지는 게 아니에요.누군가의 지속적인 후원과 믿음, 때로는 제도적인 지원 없이는창작은 생각보다 오래가지 못해요.“돈이 예술을 만든다”는 말, 너무 자본주의적일까요? 아니요. 현실이에요.이번 편에서는 예술계에서의 후원 구조와작가들이 지속가능한 창작을 위해 어떻게 돈과 관계 맺고 있는지 이야기해볼게요..   예술의 후원의 역사,  메디치 가문   예술 후원의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을 꼽자면, 단연  이탈리아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Medici Family)이 빠질 수 없어요.르네상스 시대 예술을 꽃피우게 한 가장 영향력 있는 후원자 집안이자,"예술과 권력, 자본의 결합"이 어떤 결과를 낳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2025. 3. 31.
그림의 값, 예술의 값 - 7# 예술과 소비 – 굿즈로 팔리는 미술의 가치 #7 예술과 소비 – 굿즈로 팔리는 미술의 가치 전시를 보고 나오며 굿즈숍을 그냥 지나치기는 쉽지 않아요.엽서 하나, 에코백 하나쯤은 손에 들고 나오게 되죠. 심지어 전시보다 굿즈가 더 인상 깊었다는 말도 종종 들려요.미술이 ‘작품’에서 ‘굿즈’로 확장되는 시대. 우리는 지금 예술을 소비하는 방식을 완전히 새롭게 배우고 있어요.이번 편에서는 ‘굿즈로 소비되는 예술’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미술 굿즈 시장이 이렇게 커졌다고?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미술관 및 전시 관련 굿즈 시장 규모는 약 1,400억 원 이상으로 추정돼요.이는 미술품 거래액(약 1조 원)의 10~15%에 해당하는 규모로,이제 굿즈는 ‘부가 수익’이 아니라 하나의 독립된 시장이에요.대표적인 예로는국립현대미술관.. 2025. 3. 30.
그림의 값, 예술의 값 - #6 억대 거래가 된 그림들 – 미술 경매 기록 돌아보기 #6  억대 거래가 된 그림들 – 미술 경매 기록 돌아보기 한 점의 그림이 1억 원? 요즘엔 이 정도로는 뉴스가 안 될 정도예요.수십억, 수백억 원에 낙찰된 작품들은 예술계를 넘어,금융 시장 못지않은 규모와 파급력을 보여주고 있어요.그림 한 장의 값이 이렇게까지 올라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오늘은 실제 경매 사례들을 통해 미술의 가격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예술의 가치는 어떻게 시장과 맞물리는지 알아볼게요.     미술경매는 어디서 어떻게 이뤄질까?    미술 경매는 일반적으로  경매사(소더비, 크리스티, 서울옥션 등)를 통해사전에 감정된 작품들을 공개하고, 참가자들이 가격을 경쟁적으로 제시해 낙찰자를 결정하는 방식이에요.중요한 건, 작품의 ‘시장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투명한 과정이라는 점이에요.그리.. 2025. 3. 29.
그림의 값, 예술의 값 - #5 미술과 NFT – 디지털 자산과 예술의 결합 #5  미술과 NFT – 디지털 자산과 예술의 결합 2021년, 한 장의 JPG 이미지가 약 780억 원(6,930만 달러)에 팔리면서 전 세계 예술 시장에 충격을 안겼어요.그 이미지의 이름은 바로 비플(Beeple)의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 그리고 이 사건은 NFT 아트 시장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죠. 그림 한 장에 수십억 원이라면, “이건 진짜 미친 거 아냐?” 싶지만 이 흐름은 단지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예술과 기술이 만나는 새로운 방식의 출현이었어요. 오늘은 NFT가 미술에 미친 영향과, 진짜 이게 예술 시장의 미래인지 함께 살펴보려 해요.     비플(Beeple)의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   작품 개요제작자: 비플(Bee.. 2025. 3. 28.
그림의 값, 예술의 값 - #4 예술가의 생계 - 창작과 돈사이 #4 예술사의 생계- 창작과 돈사이  “예술은 돈이 되나요?”예술을 업으로 삼고 싶어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 질문을 받아봤을 거예요. 그리고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예술은 가난해야 순수하다’는 인식을 아직도 갖고 있어요. 하지만 오늘날의 예술가는 예전과 다르게 창작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기도 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을 설계해요. 이번 글에서는 현실 속 예술가들의 생계 구조와 수입 방식, 그리고 예술성과 돈 사이의 건강한 균형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생활비도 벌고 전시도 하는 작가들  2022년 기준 문화체육관광부의 예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예술인의 연평균 소득은 약 1,400만 원 수준. 월 평균 120만 원가량이죠. 하지만 상위 20%는 이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어요.예를 들어.. 2025. 3. 27.
그림의 값, 예술의 값 - #3 한국 미술 시장은 지금 돈이 도는가? #3 한국 미술 시장은 지금 돈이 도는가? 미술 시장은 종종 ‘보이지 않는 돈’이 흐르는 곳이라 불려요. 실제로 갤러리에선 작품에 가격표가 붙지 않는 경우가 많고,가격을 묻는 순간 왠지 ‘무례해 보이는’ 분위기까지 느껴질 때도 있죠. 하지만 우리는 지금, 한국 미술 시장이 돈의 흐름과 아주 밀접하게 맞물려 돌아가고 있다는 걸 알아야 해요. 이번 편에서는 한국 미술 시장의 돈 흐름, 그리고 왜 지금 ‘미술’이 다시 주목받고 있는지 함께 짚어보려 해요.     그림만 350억판매 부산아트페어    ​2021년 5월 부산에서 개최된 국제 아트페어 '아트부산'은 나흘간 총 350억 원어치의 작품을 판매하며 국내 아트페어 사상 최고 판매액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9년 한국국제아트페어(KIAF)의 최고 판매액인.. 2025. 3. 26.
반응형